임차인 보호 못하는 주택법

홍경서 기자
등록일자 2023-03-09 13:22:48
임차인 보호 못하는 주택법
각종 세제 혜택을 받는 민간임대주택 임대사업자들이 임차인들에게 횡포를 부리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한 민간임대주택은 임차인들에게 1년마다 퇴거가 가능하다고 안내해 놓고 서류엔 계약기간을 10년이라고 명시했다.

시세보다 높은 가격 탓에 임차인들은 꼼짝없이 10년을 살아야 하는 처지다.

다음달 입주를 앞둔 광주의 서구의 한 민간임대아파트 임차인들은 최근 소문을 듣고 깜짝 놀랐다.

새 임차인을 찾지 않으면 이 아파트에서 10년 동안 퇴거할 수 없다는 내용이었다.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1년 단위 갱신 때마다 퇴거가 자유롭다고 안내했던 임대사업자 측이 얼마 전부터 전혀 다른 답변을 내놓고 있는 것이다.

보증금 액수도 주변 시세보다 1억 원 이상 비싸 새 임차인을 구할 길도 없다.

민간임대아파트 임차인은 "만약에 10년 동안 살아야 한다고 했으면 저는 계약 자체를 안 했을 거예요. 제가 생각할 때는 임대인 쪽에서 (새 임차인 구할) 자신이 없으니까 임차인에게 그것을 떠넘기는 것이 아닌가 생각을 하고 있어요." 라고 말했다.

사업자 측은 임차인들에게 계약서상 계약기간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임차인이 사망하더라도 상속을 통해 임대차계약을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민간임대아파트 임대사업자는 "(새 임차인) 구해주셔야 돼요. 저희가 1년에 한 번씩 갱신을 하잖아요. 그때 명의변경을 할 예정이에요." 라고 말했다.

부동산 관계자는 일부 임대사업자들이 계약기간을 임대사업기간으로 명시하는 '편법'을 써 이익만을 누린다고 주장했다.

법 취지와 달리, 부동산이 호황일 땐 갱신 때마다 보증금을 법정 한도 내에서 최대한 올리고, 불황일 땐 임차인을 묶어두는 식으로 이용한다는 것이다.

더욱이 요즘처럼 집값이 떨어질 땐 '깡통전세'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잔금을 치르고 입주를 해야하는 등 안전장치가 없다.

조오섭 국회 국토교통위 위원(더불어민주당)은 "건설사들이 갑의 위치를 이용해서 법의 사각지대에서 임차인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부분이 있는데 관련 법령들을 검토해서 재정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라고 말했다.

무주택 서민의 주거 질을 높이기 위해 시행한 민간임대주택사업이 정작 임차인 보호를 하지 못하고 있다.

홍경서

‘충북 의료비후불제’ 신청자 700명 돌파

충북
전국 최초의 선순환적 의료복지제도인 ‘충청북도 의료비후불제’사업 신청자가 700명을 돌파했다.질환별로는 대표적인 비급여 항목인 임플란트가 569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척추질환 슬·고관절 인공관절, 심·뇌혈관, 치아교정, 암, 골절, 기타 질환 순으로 많았다.또한, 의료비후불제에 대한 도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사업 참여의료기관도 시행 초기 80개소에서 현재 240개소로 300%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홍경서 2024-06-07 17:00:15

횡성군, 전기차 배터리 관련 사업 선정

강원
횡성군이 ‘전기차 재제조 배터리 안전성 평가시스템 구축 사업’ 공모에 선정됐다.이번 사업은 횡성군이 강원특별자치도,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과 공동으로 조성 중인 「미래 모빌리티 거점특화단지」에 총사업비 196억을 투입하여, 올해부터 2027년까지 전기차 재제조 배터리 평가센터와 성능평가 지원을 위한 시설과 장비를 구축하는 사업이다.이번 공모 선정으로 미래 모빌리티 거점특화단지에 현재까지 선정된 8개 국가사업에 총 1,513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게 돼 이모빌리티 분야 연구 개발을 위한 산업 육성 전략에 더욱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한편, 군은 지난해 착공된 이모빌리티 개발지원센터의 올해 말 준공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6월에는 기업지원센터와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평가센터, 내년에는 실도로 기반 레벨 포(4) 자율주행차량 운전 능력 평가기술 개발사업 등을 순차적으로 착수할 예정에 있다.
홍경서 2024-06-07 16:59:54

마포구, 골목상권 ‘붐’ 축제 진행

수도권
골목경제 활성화를 위해 마포구가 야심차게 준비한 축제죠, 마포 골목상권 붐 축제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번 축제에는 마포구를 대표하는 전통시장과 상점가, 출판 디자인 업체 등이 모여 다양한 부스를 운영했다.지난 5월 25일과 26일 이틀간 홍대 레드로드 R1에서 열린 마포골목상권 '붐' 축제에 약 5만여 명의 관광객이 방문했다.축제 현장에는 마포공덕시장, 용강동 및 도화동 상점가 등 상권별 대표 먹거리를 맛볼 수 있는 마포 미식(美食)존과 맛거리 홍보존이 마련됐다.또 합정 하늘길과 방울내길, 홍대 소상공인 상점의 소품 판매존을 조성해 남녀노소 즐길 수 있는 마포 상권의 특색을 알렸다.전 세계 관광객이 모이는 홍대 레드로드에서 열리는 축제인 만큼 주민과 내국인, 외국인 관광객 모두 다양한 부스를 체험하며 마포의 맛을 즐겼다.한편 마포구는 이번 축제에 다회용기를 사용하는 운영방식을 채택해 생활폐기물을 대폭 줄이고 친환경적인 축제를 만들었다.이번 '붐' 축제를 통해 특색 넘치는 마포의 즐거움을 함께 나누는 시간이 됐길 바란다.
홍경서 2024-06-07 16:5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