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인데…" 인력 동원 행사 '논란'

홍수민 기자
등록일자 2025-03-26 13:23:37
23년 만에 구제역에 뚫린 데다 빠르게 확산하면서 전남에 비상이 걸렸다. 그런데 일부 지자체들이 행사나 축제를 예정대로 진행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축산 농가들은 방역망에 구멍이 나지 않을지 걱정이다.

지난 13일 영암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인근 무안으로 퍼지면서, 발생 농장도 모두 10곳으로 늘었다. 전남도는 백신 접종을 90% 이상 완료하며 방역 속도를 높이고 있다.

방역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인접 지자체들이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행사를 강행하면서 논란이다. 장흥에서는 200명이 참여해 무궁화나무를 심는 행사가 열렸고, 오는 30일에는 전국 마라톤 대회를 추진하고 있다. 강진에서는 구제역 발생이 확인된 14일부터 3일간 동백 축제를 강행하기도 했다.

조한욱 장흥군 산림휴양과장은 "축산 농가는 참여를 자제하고 소규모로 방제 차량을 배치해서 철저하게 차단을 시켜 놓은 상태에서 행사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축산농가와 전문가들은 방역망에 구멍이 뚫리지나 않을까 우려한다.

정연승 장흥한우협회 지부장은 "장흥은 사람보다 소가 많은 동네다. 영암에서 계속 구제역이 터지고 있는 상황에서 행사를 미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행정에서 강행하면 방법이 없다"고 언급했다. 

수의사 A씨는 "일반 국민들은 너무 심하지 않냐고 하지만 축산 쪽이 많은 전남에서는 아무래도 자제하는 게 좋다. 눈에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와의 전쟁이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축제나 행사에 대해서는 강행 규정이 없어 금지할 방법은 없다.

전남도 관계자는 "시군에서 문의가 오면 하지 말라고는 하고 있다. 하지만 근거를 내라 그러면 근거가 없다"라고 전했다. 

논란이 커지면서 영암 왕인문화축제 등 일부 행사는 연기되기도 했다. 지자체들의 안일한 행정에 구제역 확산 방지에 안간힘을 쓰고 있는 축산 농가들의 한숨은 깊어 간다.

홍수민

충북도, 가족친화인증기업 최종 선정

충북
충북도가 가족친화인증기업 바우처 지원사업에 신청한 기업을 최종 선정했다. 2년 연속 높은 신청율을 보이고 있는 이 사업은 민생경제 회복 및 가족친화 기업문화 조성에 보탬이 될 예정이다.가족친화인증기업 바우처 지원사업은 자녀출산 및 양육지원 등 가족친화제도를 모범적으로 실천하여 인증을 받은 도내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통해, 저출생률 위기에 대응하고 임신·출산·육아 친화 기업문화 조성을 위한 목적으로 신설한 사업이다.올해 선정된 27개 기업에게는 사업화, 마케팅, 사업기획, 시설현대화 등 총 4억 원 규모와 기업당 1,500만원 한도 바우처 형식으로 기업수요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홍수민 2025-04-30 14:46:41

보령시, 2025년도 상반기 민방위 교육 실시

충남
보령시는 민방위 대처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사이버교육을 실시한다. 4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며, 대통령 선거기간 중에는 교육이 일시 중단된다. 올해 교육 대상은 만 20세(2005년생)부터 만 40세(1985년생)까지로, 1~2년차 대원은 집합교육 4시간, 3~4년차 대원은 사이버교육 2시간, 5년차 이상 대원은 사이버교육 1시간으로 진행된다. 교육 내용은 민방위 기본 소양, 안보, 화생방 등으로 구성되며, 교육과 체험 실습을 병행해 재난·재해 발생 시 민방위대의 초동 대처 능력을 배양한다. 집합교육 및 사이버교육을 이수하지 않을 경우, 1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므로 반드시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오경철 안전총괄과장은 “민방위 교육은 민방위 사태나 재난이 발생했을 때 가족과 지역사회를 지키기 위한 필수 교육”이라며 참여를 당부했다.
홍수민 2025-04-30 14:46:33

보령시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시행

경제
보령시는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 사업을 시행한다. 올해는 총 40대의 전기이륜차를 보급할 예정이다. 지원대상은 보령시에 주소를 둔 16세 이상 개인(사업자) 또는 보령시에 사업자 등록을 한 법인·기관이다. 보조금은 전기이륜차 규모와 유형에 따라 차등 지원되며, 최대 지원액은 소형 230만 원, 중형 270만 원, 대형 300만 원 등이다.기존 내연기관 이륜차를 폐차하고 전기이륜차로 교체할 경우 최대 지원액 내에서 국비 30만 원이 추가 지원될 예정이다.
홍수민 2025-04-30 14:46:26